분류 전체보기57 KODEX WTI원유선물 : 과연 지금은 살때인가? 일단 제가 생각하는 KODEX WTI원유선물(H)의 단기적인 태도는 '기다림'입니다. 그리고 이 상품은 선물 상품 특성상 롤오버 비용에 의해 단기적 투자에 더 적합한 상품입니다. 오늘 포스팅에는 1.석유전쟁의 전개 2.주식시장과 WTI원유가격의 관계 3. 골드 가격과 WTI원유가격의 관계 이 3가지를 논해보려고 합니다. 1.석유전쟁의 전개 현재 원유전쟁으로 인해 휴전을 선언했습니다. 2000만 배럴은 하루 세계 석유 수요의 20%에 달하는 물량입니다. 사우디는 하루 400만 배럴 러시아는 160만 배럴을 감산한다고 합니다. 여기에 더해 G20 에너지 담당 장관들이 유가 수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시장 안정화를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현재 유가 가격은 떨어졌습니다. 왜 그럴까요? 2.주식과 WTI원.. 2020. 4. 10. [경제시사]리디노미네이션(화폐개혁)의 이유 오늘 포스팅은 리디노미네이션을 해야 하는 이유 3가지입니다. 그렇다면 '리디노미네이션'은 무엇을 뜻할까요? 화폐 가치 변동 없이 화폐 액면단위만 바꾸는 것인데요. 쉽게 말하면 화폐개혁입니다. 이 정책의 목표는 리디노미네이션을 통해서 내수를 올릴 수 있기 때문인데요. 이제 이유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 단위의 편리성 때문입니다. 2019년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1913조 원입니다. 2차 화폐 단위 변경 당시 1962년(3658억 원)보다 대략 4800배 확대되었습니다. 둘째, 한국의 내수 부양입니다. 화폐 단위 변경은 금융거래 관련 각종 소프트웨어 대체와 기업의 제품 가격표 교체를 실시하기 때문에 그만큼이 수요로 잡히게 될 것입니다. 2004년 노무현 정부 당시 리디노미네이션을 고려했는데 약 .. 2020. 4. 9. [ETF주의]ETF 괴리율이 발생하는 이유 이번 포스팅은 ETF 괴리율의 의미와 원인에 대해 다뤄볼 것입니다. 최근 유가가 폭락하면서 WTI 원유 KODEX의 관심이 꽤나 높아졌는데요. 이와 함께 높아진 괴리율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우선 ETF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죠. ETF 시장가격과 ETF 투자대상 자산의 순자산가치(NAV)의 차이를 비율로 표시한 투자위험지표로서 동 비율이 양수인 경우는 일시적으로 ETF 시장가격이 순자산가치보다 고평가 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제는 발생 원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ETF와 기초자산의 종가의 시차차이 예를 들어, 15년 ARIRANG 차이나H레버리지 ETF의 시장 가격은 7360원이었지만 NAV(순가치 자산)은 7161.45원이었습니다. 일단 기초자산은 홍콩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인데 한국시간으로 .. 2020. 4. 8. WTI 원유에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방법 <원유 관련주> 최근 원유 WTI의 가격이 폭락하면서 원유와 관련된 ETF과 ETN 상품에 관심도 꽤나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이 상품들은 괴리율과 롤오버 비용의 문제점이 있죠. 괴리율을 확인해보면 삼성레버리지 WTI 원유 선물 ETN 51.36% 신한 레버리지 WTI원유 선물 ETN 37.09% 신한 WTI원유 선물 ETN -1.21% KODEX WTI원유선물 -1.82% 기초상품의 X2 움직임을 보이는 레버리지상품은 괴리율이 너무 심해서 매수하기엔 단기적으로라도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제 이 상품들을 보죠. 신한 WTI원유 선물 ETN -1.21% KODEX WTI원유선물 -1.82% 괴리율이 낮습니다. 이 상품들로 장기적 투자를 하기에 적절할까요? 아닙니다!!!! ETF와 ETN상품들 중 선물지수를 추종하는 상품들은 .. 2020. 4. 7. 이전 1 ··· 11 12 13 14 15 다음